이집트 사막 녹지화사업 박차, 농업용 트랙터 수요 급증
- 경작가능 녹지 전 국토의 3.5%에 불과, 사막녹지화사업 국정 최우선 과제로 추진 -
- GAFTA, Egypt-EU 등 자유무역협정 체결로 식품수출 증가추세 -
- 농업용 트랙터 시장규모 약 1억 달러, 한국산의 수입은 1% 미만 -
유망사유 : 이집트는 북아프리카 국가 중 유일하게 농업에 기반한 국가(GDP의 20%)이나 전체 국토 중 경작 가능한 녹지는 나일강 주변의 3.5%에 불과해, 토지(사막)녹지화 사업을 국정 최우선 과제 중 하나로 추진 중. 트랙터제품의 연간 수입규모는 약 1억 달러로 추산되며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나 한국산 수입은 미미한 실정 |
1. 유망사유
□ 이집트, 북아프리카 중 유일한 농업기반 국가
○ 농업은 이집트 총 GDP의 약 20%를 차지하는 핵심분야로 총 고용의 약 34%를 차지하며, 전체 인구의 약 55%가 농업 관련 소득으로 생계를 유지
○ 농산물의 수출은 2007년 18억 달러에 달했으며, 이는 석유 관련 수출을 제외한 전체수출의 약 13%를 차지
○ 주요 경작품목은 쌀, 사탕수수, 토마토, 감자, 포도, 딸기 등이며, 쌀과 사탕수수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생산효율 자랑(쌀은 1acre당 3.8톤, 사탕수수는 1acre당 50톤 생산)
□ 경작가능녹지 전 국토의 3.5%에 불과, 사막녹지화 사업 박차
○ 이집트정부는 주거가능토지의 비율을 현재의 5%에서 25%까지 늘리기 위한 대규모 사막녹지화 사업(Horizontal Expansion Projects, Desert Reclamation Projects)을 추진 중
○ 이 계획에 따라 경작가능한 토지를 현재의 800만feddans(1feddan=4200sm)에서 2017년까지 1140만feddans로 확장할 계획. 사막녹지화 사업 중 규모면에서 가장 큰 South Valley Development Project의 세부 개요는 다음과 같음.
ㅇ South Valley Development Project - 예산규모 : 530억 달러 - 소요기간 : 20년 - 녹지화 규모 : 100만feddans - 지역 : Toshka Depression, East Oweinat, New Valley Governorate Oases - 목적 : 수출용 농업지대 조성 및 고용 창출 |
□ GAFTA, Egypt-EU 등 자유무역협정 체결로 식품수출 증가추세
○ 2005년에 발효된 GAFTA(Greater Arab Free Trade Agreement)에 따라 중동지역 내 가공식품 관련 관세인하가 점진적으로 진행 중이며, 이들 지역에 대한 이집트의 식품수출도 증가추세
○ EU지역에 대한 수출도 증가추세에 있으며, 현재 협상 중인 이집트-EU 간 FTA가 타결될 경우 EU지역에 대한 수출이 급증할 것으로 전망. 이집트-EU 간 FTA 기본협정은 2008년 체결됐으며, 세부협상이 진행 중. 현재까지 합의된 사항에 따르면 EU산 농수산물의 약 90%가 무관세로 이집트에 수출될 전망이며, 이집트 농산물의 약 70%가 EU시장에 무관세로 수출될 전망
2. 시장동향
□ 시장규모
○ 2008년 기준 트랙터제품의 시장규모는 약 1억 달러 규모로 추산되고 농업용 기계류 전체의 시장규모는 약 11억 달러임.
트랙터시장 규모
(단위 : US$ 천)
구분 |
2007 |
2008 |
2009(전망치) |
트랙터 |
102,192 |
106,280 |
110,531 |
자료원 : 미 상무부
농업용 기계류 시장규모
(단위 : US$ 천)
구분 |
2007 |
2008 |
2009(전망치) |
시장규모 |
1,066,388 |
1,109,035 |
1,153,396 |
현지생산 |
50,780 |
52,811 |
54,924 |
수출 |
0 |
0 |
0 |
수입 |
1,015,608 |
1,056,232 |
1,098,482 |
자료원 : 미 상무부
□ 수입동향
○ HS Code 870190의 수입통계를 보면 루마니아 및 러시아의 수입시장 점유율이 약 30%대이고, 한국산의 수입은 2007년 기준 약 3만 달러로 수입비중은 1% 미만임.
□ 경쟁동향
○ 전체 시장에서 현지생산의 비율은 약 5%대임. 주요 생산업체는 Tanta Motors, El Watanya for Agriculture Equipment, Altec Company 등
○ 수입산이 전체 시장의 약 95%를 점유하며 주 수입국은 이탈리아, 중국, 덴마크, 루마니아 등임. 주요 브랜드별 시장점유율은 다음과 같음.
순위 |
브랜드명 |
국가 |
점유율 |
1 |
Universal |
루마니아 |
30% |
2 |
Landini |
이탈리아 |
30% |
3 |
Massy Furgesson |
영국 |
20% |
4 |
Fiat |
이탈리아 |
10% |
5 |
Ballaross |
- |
10% |
자료원 : 관련 딜러 인터뷰
□ 가격동향
○ 신제품의 브랜드별 가격은 EGP 6만5000~9만 수준이며, 중고제품의 가격은 신제품의 약 50% 수준임. 관련 딜러에 따르면 전체수요 중 신제품과 중고제품의 수요는 각각 60%, 40%임.
브랜드명 |
국가 |
평균가격(EGP) |
Universal |
루마니아 |
65,000 |
Landini |
이탈리아 |
65,000 |
Fiat |
이탈리아 |
80,000 |
Massy Furgesson |
영국 |
90,000 |
주 : US$ 1=EGP 5.6
3. 진출방안
○ 이집트시장 진출 초기에는 유연한 가격정책이 필수적이며, 기계정비와 관련해 잦은 부품 교체가 필요하지 않은 low-cost technology 제공이 필요함. 구매결정 시 손쉽고 저렴한 정비가능 여부가 중요한 판단기준
○ 정부가 운영하는 농장이나 공공기관에서는 주로 입찰을 통해 구매함. 입찰 시 주요 고려사항은 가격, 딜리버리 시간, AS 등임. 공공기관 입찰 시 신용거래를 요구하는 경우도 있음.
○ 영업능력이 확인된 에이전트의 선정이 중요하며 에이전트 교체 시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음. 에이전트 교체 시 교체기간 중 AS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브랜드 이미지에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음.
자료원 : 이집트 통계청, 수입상 인터뷰, 미 상무부
'내가 하는 일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우리나라 사막 녹지화 사업 회사 (0) | 2009.10.29 |
---|---|
돼지감자 정보 추가 (0) | 2009.10.29 |
[스크랩] 뚱딴지 돼지감자 (0) | 2009.10.29 |
사막화. (0) | 2009.10.29 |
cracking the code of life (0) | 2009.05.01 |